- 증거금 (마진)은 무엇인가요?
증거금은 신용도가 높은 입금액 또는 포지션 유지를 위해 게시하거나 입금해야 하는 자금 입니다.
포지션 마진 = 개시증거금 + 추가/삭제된 증거금
개시증거금:
개시증거금 = 거래승수 * 수량 * 가격 / 레버리지
- 증거금과 레버리지의 상관관계
레버리지를 통해 소액으로 훨씬 더 높은 가치의 포지션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손익이 크게 확대됩니다.
예시:
BTC가 $10,000에 거래되고 있으며 거래자가 10배의 레버리지를 이용해 1,000 계약을 공매수 포지션으로 진입한다고 가정해봅시다.
개시된 계약 수량 = 1,000 계약
필요 마진 = 계약승수 * 수량 * BTC 가격 / 레버리지 = 0.0001*1000*10000 /(10)=100 USDT
주의사항: 레버리지가 높을수록 수익이 높아지지만, 그에 따른 위험 또한 증가합니다. 높은 레버리지를 사용하기 전 반드시 위험성을 인지해주시기 바랍니다.
- 레버리지, 개시증거금, 유지증거금 및 증거금 비율
레버리지: 포지션 개시를 위해 선택하는 레버리지
개시증거금 비율: 1/레버리지
개시증거금 = 계약승수 * 수량 * 평균 미체결 가격 / 레버리지
유지증거금 비율 (MMR): 현재 보유한 포지션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최소 증거금 비율. 유지증거금 비율에 따라 청산 가격이 달라집니다. 기초 인덱스 가격이 청산 가격에 도달할 경우, 자동자산청산/청산 절차가 시작됩니다.
유지증거금 비율은 청산 가격 계산에 사용됩니다.
(예측값) 청산 가격 (공매수) = (포지션 규모 (계약 수) * 계약승수 * 평균 미체결 가격 + 수수료 - 개시 증거금)/((1-유지증거금 비율) * 계약승수 * 포지션 규모)
(예측값) 청산 가격 (공매도) = (포지션 규모 (계약 수) * 계약승수 * 평균 미체결 가격 - 수수료 + 개시 증거금)/((1+유지증거금 비율) * 계약승수 * 포지션 규모)
증거금 비율 = (개시 증거금 + 미실현 손익) / 미체결 가치 = (개시 증거금 + 미실현손익) / (포지션 * 계약승수 * 평균 가격)
예시:
최근 계약 가격은 $10,000이며, 거래자가 10배의 레버리지를 이용해 1000 계약을 공매수 포지션으로 진입한다고 가정해봅시다 (1단계 위험한도). 해당 포지션에 필요한 유지증거금 비율은 0.5% 입니다.
개시 증거금 비율 = 1/10 = 10%
증거금 = 계약승수 * 수량 * 평균 미체결 가격 / 레버리지= 0.0001*1000*10000/10=100 USDT
(예측값) 청산 가격 (수수료=0 이라고 가정) = (포지션 규모 (계약 수) * 계약승수 * 평균 미체결 가격-개시 증거금)/((1-유지증거금 비율) * 계약승수 * 포지션 규모) = (1000*0.0001*10000 + 0 - 100)/((1-0.5%) * 0.0001 * 1000)= $9045.2261
최근 계약 가격이 $9045으로 하락하고 기초 인덱스 가격이 $9055.5 일 때
미실현 손익: 계약승수 * 수량 * 최근 가격 – 계약승수 * 수량 * 평균 미체결 가격 = 0.0001*9045*1000-0.0001*10000*1000=-95.5
증거금 비율 = (증거금 + 미체결 손익) / 포지션 가치 =(100-95.5 )/(9045*0.0001*1000)=0.49748%<0.5%
인덱스 가격이 청산가격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포지션은 자동자산청산/청산되지 않습니다.
- 증거금 변경
거래자는 모든 포지션의 증거금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, 이는 위험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. 레버리지와 청산가격은 증거금 변경 이후 자동으로 달라집니다.
댓글
댓글 0개
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.